그룹명/브람스를 좋아하세요

3월 오페라 감상회 / 로미오와 줄리엣 (2011.03.19)

마리안나 2011. 3. 19. 23:43

 

 

 

오페라 로미오와 쥴리엣해설지

로미오와 쥴리엣 2011년 3월 19일 홍관수

*세익스피어(1564년-1616)

①어느 한 시대의 사람이 아니라 모든 시대의 사람(벤 존슨)--시대를 초월하는 보편성:현재의 시점에서 또 다른 의미를 읽어 낼 수 있는 개방적 텍스트

②삶을 있는 그대로 비추어 내는 거울(새무얼 존슨)--인간 본성에 관한 심오한 해석과 시적인 묘미와 아름다움을 드러내는 천재적 언어 감각

*1599년 셰익스피어의 <로미오와 줄리엣>이 글로브 극장에서 상영.

-르네상스시대의 특징:

①권력과 위계질서에 근거한 전통주의 vs 인본주의, 진보주의와의 마찰

②종교의 영향약화로 영생과 내세보다는 현실적 명예와 이익이 중요시

③가족을 단위로 하는 상공업과 가내 수공업의 발달--가문의 결속이 더욱 강화

*셰익스피어의 작품들은 19세기 낭만주의 문학 사조가 대두한 이래 거의 신격화.

*낭만주의 작곡가들의 의지와 결합하여 음악을 구현하는 가장 이상적인 소재로 각광.

*1303년 7월 중순 일요일부터 목요일까지의 배경

*서정적인 언어로

①처음 마주친 눈길이 둘을 뜨겁게 묶어 놓은 가면 무도회의 상봉

②어둡고 조용한 밤 발코니에서의 고백장면

③불꽃을 태운 쥴리엣의 방에서의 하루밤

④애절한 이별장면

*비극:운명+성격+우연

---모든 비극에는 운명적 요소+성격적 요소

---선한 자의 희생없이는 질서와 평화를 닷 회복할 수 없다.

로미오와 쥴리엣의 음악적 소재 가능성 이유:

① 명쾌하면서도 단순, 긴박한 플롯의 전개

②진실한 사랑의 정서가 우아하게 표출되는 언어의 음악성과 시성

③ 압축적이며 아름답게 펼쳐지는 사랑의 진실

④심도 있는 함축성

로미오와 쥴리엣을 소재로 한 음악 작품

①베를리오즈의 <로미오와 줄리엣>--극적 교향곡

②원작에 가까운 충실함, 구노의 <로미오와 줄리엣>---프랑스 오페라---베를리오즈의 영향받음

*원작과의 차이:작품의 비극적 요소와 음악적 표현력이 풍부해졌다

원작(세익스피어)

오페라(구노)

쥴리엣이 혼자 약을 먹는다

아버지 앞에서 먹는다

로미오가 주고 난후 쥴리엣이 깨어난다

로미오가 죽기전 깨어나 이중창을 부른다

두 가문이 화해하는 것으로 끝난다.

주인공의 죽음으로 끝난다.

③벨리니 <카풀렛과 몬테규> ---이태리 오페라--원작과 많이 다르다.

④차이콥스키는 환상서곡이라는 함축적인 양식을 통해 5일간의 사건을 매우 명료하게 묘사

⑤ 프로코피예프(1891-1953) 의 발레 <로미오와 쥴리엣>

⑥번스타인(1918-1990)의 뮤지컬 ‘웨스트사이드 스토리’.

순서

내용

음악적 표현과 참고사항

①서곡

양가의 대립을 음악적으로 표현

금관악기 사용

2성 대위법적 작곡

①프롤로그

전체내용을 이야기식 노래

합창

1막

캐플릿가의 회랑

①가면 무도회

②쥴리엣(쥴)의 등장

의 사회로의 데뷔

의 행복한 습

①흥겨운 왈츠풍의 거대한 합창

②왈츠노래로 행복감 노래

③로미오, 머큐쇼등장

④로미오가 쥴리엣발견

⑤패리스와의 결혼설과 쥴의 아리아

⑥롬과 쥴의 만남

⑦티볼트의 등장

⑧피날레

③머큐쇼의 롬에 대한 우정

④롬의 쥴에 대한 관심

⑤쥴의 자유를 갈망하는 아리아(원작에는 없다)

⑥마음속 교감이 행동으로

⑦서로의 존재를 알게 됨

⑧운명적 대립관계

③맵여왕이야기* 노래

④쥴리엣과 로잘린**

⑤‘아! 꿈 속에 살고 싶어라’“:화려하고 경쾌

⑥마드리갈***듀엣(서정적)

⑦긴박한 음악

⑧어수선한 무도회분위기

2막발코니

⑨롬의 쥴을 그리워함

⑩머큐쇼의 조롱

⑪롬의 아리아

⑫사랑의 이중창

⑨운명과사랑(우울함&그리움)

⑪쥴의 방에서 나온 빛을 보며 롬의 생각

⑫사랑을 고백(이름에 대한 시--제도에 대한 반발)****“장미의 이름”

⑨6/8박자의 긴 선율

⑪cavatina

⑫서정적이고 아름답다. 2막전주곡의 반주로 롬의 솔로로 끝남

3막

⑬결혼식(로렌스신부의 방)

기존결혼제도(신성을 상실한 권력과 재력의 수단)완전 무시--자유의지표출, 쥴리엣의 용기는 가부장적 제도에 반발하고 한 인간으로써 존재하려는 입문의식

⑭머큐쇼, 티볼트의 죽음

로미오의 추방

장송곡과 죽음을 비탄하는 합창

4막

⑮전주(사랑의 주제선율)(쥴의 침실)

밤새 사랑을 나눔

2막의 발코니 사랑장면 연주

⑯이별 후의쥴의 노래

⑪과유사구조(롬과 쥴의 심정)

2막의 롬의 ⑪을 쥴이 부른다

⑰로렌스신부에게 수면제 받음과 먹음

아버지 캐플릿앞에서 잠든다

원작에서는 홀로 잠든다(별명:두 사람을 위한 오페라)

5막

⑱쥴리엣과 로미오의 죽음

두 가문의 화해를 위한 선한 희생자가 됨

원작은 로미오가 죽은 후 깨어나나 오페라에서는 죽기전 깨어나 이중창을 부른다(별명:두 사람을 위한 오페라)

(*1)맵여왕:영국 민간전승에 나오는 요정들의 여왕. 짓궂지만 근본적으로 자비로운 성격을 가짐. 잠자는 사람들에게 마음 속 깊이 간직한 소원을 꿈의 형태로 이루어준다고 함.

(*2)시대적 사랑에서 당시 유행했던 궁정식 사랑(courtly Love)--중세 궁정사회에서 기사와 귀부인 사이의 사랑방식---이상적 연애를 위해서는 사랑이 이루어 지지 않는 것이 좋다는 관점에서 형성된 사랑의 관행---문학적 표현---페트라르크식 연애시(Petrarchan Sonnet):“하늘에는 신, 지상에는 귀부인”이라는 말처럼 신처럼 합쳐질 수는 없으나 마음으로 항상 앙모할 수 있는 존재로서의 여인

페트라르크식 사랑

현실적 사랑

이상적, 허구적

현실적, 사실적

시대적 산물

시대초월적 산물

대상:상상의 인물 가능

대상:현존하는 인물

금욕적, 정신적

육체적, 쾌락적

로미오→로잘린(장미)패리스→쥴리엣(보석)

로미오→쥴리엣 머큐쇼, 유모

사랑의 고통을 느끼는 자신의 감정을 보호하기 위해 수동적---욕망적 사랑

사랑을 쟁취하기 위해 적극적 행동(무모한 행동이나 목숨을 건다)---소유적 사랑

(*3)마드리갈:14세기에 북부 이탈리아에서 시작된 실내 성악곡.---짧은 목가나 연애시에 곡을 붙인 것.

(*4)“장미의 이름”

제발 다른 이름을 택하세요. 이름이 무슨 소용이 있나요?

장미를 다른 이름으로 불러도 그 향기는 그대로 남을 것이 아니겠어요?

그러니 당신이 로미오란 이름으로 불리지 않아도 당신의 본래의 미더은 그 이름과 상관없이

그대로 남을 게 아닌가요?

로미오, 당신과 아무런 상관없는 그 이름을 버리시고

대신 저를 송두리째 가지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