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오페라 감상회 / 카르멘 - 조루주 비제 (2012.04.21)

마리안나 2012. 4. 22. 21:20

 

 

 

 

 

 

 

 

 

 

 

 

 

 

 

 

 

오페라 카르멘 해설지
cecil

카르멘--조르주 비제작, 1875년 초연, 세계3대 오페라중 하나

*Femme fatale(팜므 파탈:치명적인 여자:특유의 매력으로 남자의 마음을 열게 한 후 그 가슴에 비수를 꽂는다)

*집시:“자유”를 존재의 유일한 근거로 삼는다. 인습과 규범, 제도의 속박에서 벗어나 자유분방한 삶.

*카르멘---정열,사랑, 자유의 상징

A. 원작은 프랑스작가 메리메의 중편소설---고고학자의 이야기 형식:갑자기 여자에게 반해서 지위, 생계, 생명까지 모든 것을 잃는 한 병사의 이야기

B. 대본 메이약알레비:비제와의 끝없는 논쟁과 수정

C. 조르주 비제(1838-1875):프랑스 오페라의 혁명가, 37세 요절, 천재,9세에 파리음악원 입학, 아버지는 유쾌한 이발사, 비제의 피아노솜씨에 놀란 리스트.

D. 오페라 코미크(opera comique)와 그랜드오페라의 차이점

1. 레시타티브대신 대화를 사용

2. 화려하지 않고 가수와 악기수도 적다.

3. 단순한 음악어법

4. 거대한 역사적인 장면보다 솔직한 희극

5. 19세기 오페라코믹의 특징---선율과 리듬의 자연발생적 요소를 선택, 단순한 음조직과 화성, 전통적인 형식, 천진난만한 기분, 낭만주의 시대의 기본이 됨

E. 카르멘의 음악사적 의의

1. 최초의 사실주의 오페라(verismo)---낭만주의를 버리고 사실주의로 향하는 중요한 운동

2. 시대적상황---1870년 보불전쟁의 패배와 프랑스혁명의 의미가 축소되려는 경향---사회적 긴장완화

3. 유럽의 성구조의 가부장적 형태에 대한 비판

4. 기존의 오페라 코미크를 개혁

5. 초연실패(그러나,브람스, 구노, 드뷔시, 그리그, 푸치니의 극찬 특히 차이코프스키는 5년내 오페라계를 석권하리라 예측)

6. 원본과의 차이---카르멘의 남편 애꾸눈 가르시아가 없고 청순한 미카엘라와 투우사 에스키미요의 등장

제1막

1.전주곡:2 부분으로 나누어짐:전후 명암이 뚜렷하고 오페라 내용을 잘 암시

①쾌활한 행진곡:투우사의 입장식→투우사의 노래→재현(기본리듬:2/4박자)

운명의 동기(death motif)(3/4박자):트레몰로와 함께 찬물 끼엊듯 시작→극적인 최후(불협화음과 포르테)-반복적으로 나온다--호세와 카르멘의 첫 눈마주침, 병영귀대나팔시, 카드점, 투우장밖에서 다시 눈이 마주칠때, 마지막 장면

제1막

2. 네거리에 가는 사람:빈둥거리는 군인들과 시골 처녀 미카엘라의 정숙한 태도

3. 어린이들의 합창

4.담배공장 여공들의 합창과 카르멘의 등장: 운명의 동기 변형이 연주됨

5.하바네라(맘의 사랑은 들새와 같아);하바네라 춤곡의 기본 리듬:2/4박자 ;(스페인 민요, 쿠바의 하바나에서 유행했던 탱고의 할아버지격 노래), 반음계적 선율--단조에서 시작하여 장조로 넘어감---육체적인 매력을 느끼게 함, 끝나고 호세와 눈이 마주치는 순간 운명의 동기(death motif)가 연주된다. 호세가 꽃을 슬며시 호주머니에 넣는다(fetal femme라는 용어 발생)---비제가 대사를 직접 씀

6.이중창(호, 미)(나의 어머님 소식);어머니는 자식 생각을 한다(미)--하바네라와 대조를 이룬다---서정적인 선율과 다양한 화성진행---청순하고 부드러운 느낌---3막에 다시 반복

7.합창(언쟁의 합창)(아! 이건 무슨 일일까?)

8.노래와 멜로드라마(트랄라라라)--카르멘의 체포, 쥬니가의 노여움, 카르멘의 유혹(운명의 동기가 슬쩍 연주됨)

9.세기딜랴(스페인 안달루시아지방의 대중적인 댄스. 볼레로외 비슷한 3박자의 춤곡. 빠르다. 기타반주와 캐스터네츠의 리듬)와 이중창---세빌리아의 성벽 가까이--가장 섹시하게 호세를 유혹한다. 카르멘의 두 번째로 유명한 곡

.Final(종곡)--카르멘이 호세를 밀고 도망치면서 1막이 내린다.

간주곡(알칼라의 용기병)

제2막

10. 11.집시의 노래(시스트럼의 맑은 새소리)--이국적 색채가 가장 짙은 스페인적 무드--점점 발라져 소용돌이로 끝난다

12.합창---만세 만세 투우사여;;에스카미요의 등장

투우사의 노래(당신들과 축배를)--전주곡에서 이미 나오는 운명의 동기와 대조

13. 오중창(좋은 돈벌이 한 가지 있소)---속이거나 훔칠 때는 여자가 필요하다

14. 캐스터너츠 노래--카르멘이 호세를 위해 노래함

15. 꽃노래--직전에 운명의 동기가 나오면서 무언가 무시시한 일이 올 것임을 암시. 간절한 I love you로 끝남

16.함께 산으로 가요

17.쥬니가의 개입

.종곡-산으로 가세---군중 합창에서 자유를 찬양한다.

 

제3막

1.간주곡--목가적인 선율 <L,arlesienne>를 위해 쓰여진 곡, 독립적으로 연주되는 보석같은 곡, 풀륫의 정교한 선율로 목관악기로 이어진다

2.육중창과합창(동료로서 서로 주의하는 것이 중요하다)-어딘가 기분나쁜 특징적인 밀수꾼의 행진곡으로 시작-육중창으로 이어진다

3. 삼중창과 트럼프의 노래(카드점)(card trio)---운명의 동기가 카르멘의 불행을 예고

4.미카엘의 아리아---무서운 것은 없어

5. 이중창-호세와 에스카미요의 결투

6. 투우장으로 초대, 호세의 경고, 미카엘라의 소식, 카르멘의 변심

7.종곡--목관가 호른의 운명의 동기가 연주, 멀리서 투우사의 노래가 들림:카르멘과 호세의 긴박성과 밀수업자들의 느릿한 출발의 대조

제4막

1간주곡;격렬하고 급속함, 처음부터 끝까지 타악기의 활기찬 3박자 리듬, 스페인 색채가 강함, 오보에의 애수젖은 선율에 이어 피콜로와 클라리넷의 춤추는 듯한 선율, 스트링의 선율에 피치카토, 큰 규모의 기타반주로위대한 tour de force(걸작)이다.

2. 행진곡과 합창--투우장투우사의 입장

3.에스카미요의 고백과 친구들의 카르멘에 대한 호세를 조심하라고 권유

4.호세와 카르멘의 운명적 마지막 만남운명의 동기

전주곡

투우사의 노래:쾌활

운명의 동기:암울

등장인물

미카엘라:청순,정숙,보수적, 순종적-많은남자가 따르나 한 남자만사랑

카르멘:관능적,자유분방, 강한 자존심과 고집-한 남자남 사랑하지 않음

 

호세:순정적, 내성적, 질투심

에스카미요:외향적, 쾌락적

상징

꽃을 던진다

반지를 던진다

카르멘이 단도에 찔린다

동시간 투우가 칼에 죽는다

투우장기준

안에서의 죽음:영광과 명예

밖에서의 살인:자멸과 통곡

이중창과 마지막 합창--사랑을 거절당한 호세의 고뇌와 아픔, 에스카미요를 환호하는 함성, 그쪽으로 향하는 카르멘의 최후를 암시하는 운명의 주제, 카르멘을 찌르는호세, 이광경을 보고 놀라는 군중들과 최고조로 달한 을씨년스러운 운명의 동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