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룹명/바람이 전하는 음악

슈베르트 / 송어 / 거장들의 연주

마리안나 2014. 9. 1. 22:46

슈베르트 / 송어 / 거장들의 연주

제뉴어리

 

Franz Schubert
Piano Quintet in A Major op.114 'The Trout' (송어)

- 4악장 Andantino (주제와 변주곡)-


1969년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21세의 젊은 주커만이 비올라 파트를 맡아 연주한 피아노5중주 영상이다.
Daniel Barenboim (pf),
Itzhak Perlman (vn),
Jacqueline du Pre(vc),
Pinchas Zukerman(va),
Zubin Mehta(bass)
훗날 '유태인 음악 마피아'(The Jewish Musical Mafia) 라고 불리기도 한 이들 다섯 거장이 젊은 시절 함께 펼치는 열정적인 연주 모습이 퍽 감동적이다.


바렌보임의 아내로 42세에 요절한 천재 여성 첼리스트 재클린 뒤프레(1945 ~ 1987)의 모습이 눈길을 끈다.(펌

 

 

 

 

 

 

Schubert, Piano Quintet Op.114, D667

'The Trout'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 '송어'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Alfred Brendel piano

James van Demark double-bass

Cleveland String Quartet members 1977


 

아플 때 약이 되는 음악이 있다. 머리가 아플 때 말러나 바그너의 음악을 들을 수는 없을 것이다. 슈베르트의 음악이야말로 치유하는 음악, 약이 되는 음악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것도 요란스런 양약이 아니고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나아버리는 생약이 아닐까. 슈베르트의 이 작품을 이야기하면서 슈베르트와 친했던 당대의 명가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슈베르트가 아직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 이미 성악가로 명성이 높았던 요한 미하엘 포글(바리톤)이 그 주인공이다.

 

 

슈베르트보다 30세가 위였던 포글은 빈 국립오페라의 명 바리톤이었고, 연가곡 <겨울 나그네>를 비롯해 수많은 슈베르트의 가곡을 소개해 슈베르트의 뛰어난 재능을 널리 알렸던 가수였다. 슈베르트는 포글을 위해 많은 가곡을 작곡해주기도 해 둘은 서로 가까워졌다. 이들이 친하게 된 것은 ‘슈베르티아데’라고 하는 슈베르트를 돕기 위한 모임을 통해서였다. ‘슈베르트의 밤’이란 뜻의 이 모임에는 슈베르트와 어린 시절부터 기숙사 생활을 같이 한 슈파운을 비롯, 시인인 마이어호퍼, 천재 화가 슈빈트, 그리고 포글이 참가하고 있었다. 멤버들은 밤마다 모여 음악을 연주하고 춤을 추고, 시를 읊고, 문학을 논했다.


유쾌하고 명랑하게 뛰노는 송어의 움직임

1817년, 슈베르트는 가곡 ‘송어’를 작곡했고 그 해 포글이 슈베르티아데에서 초연했다. 이 가곡은 송어가 유쾌하고 명랑하게 뛰노는 광경을 그렸다. 가곡의 줄거리는 대략 이렇다. 거울같이 맑은 시내에 송어가 화살처럼 헤엄치며 놀고 있다. 작중 화자는 이리저리 헤엄치는 송어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그때 한 어부가 송어를 잡기 위해 낚시를 드리운다. 그러나 물이 너무 맑아서 송어가 잡히지 않는다. 결국 어부는 물을 흐려놓은 후에 송어를 잡았고, 작중 화자는 어부의 속임수에 걸려든 송어를 당황스런 마음으로 바라보았다는 것이다.

슈파운의 집에서 열린 슈베르티아데 모임을 그린 그림. 피아노 치는 슈베르트(가운데) 오른쪽에 앉은 사람이 성악가 요한 미하엘 포글이다.

간혹 ‘송어’를 ‘숭어’라고 우기는 사람들도 적잖이 있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숭어’는 틀리고 ‘송어’가 맞다. 그 이유는 바로 ‘맑은 시내에’라는 대목에 있다. 송어가 민물고기이고 숭어는 바닷고기이기 때문이다. 이 피아노 5중주에 ‘송어’라는 제목이 붙은 이유는 가곡 ‘송어’의 선율을 주제로 한 변주곡이기 때문이다. 음악 전체를 통해 신선한 느낌이 발산되고 있으며, 마치 깊은 산 속의 여름을 떠올리게 하는 상쾌한 기분이 넘쳐흐르고 있다. 곡의 음악적 구조가 완만해서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평도 있지만, 슈베르트의 청년다운 패기와 순수가 넘치는 걸작이다.

1819년, 22세의 슈베르트는 성악가 포글과 함께 북부 오스트리아의 슈타일을 비롯해 린츠 지역으로 연주와 피서를 겸한 여행을 떠났다. 두 사람은 7월 13일부터 9월 중순까지 이곳에 머물렀는데 휴가지에서 만난 질베스터 파움가르트너라는 광산업자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았다. 파움가르트너는 관악기와 첼로를 연주할 수 있었던 음악 애호가였다. 그의 집은 그 지역 음악의 중심지처럼 여겨지고 있었다. 파움가르트너는 슈베르트에게 자신이 직접 연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작곡을 하나 해달라고 의뢰했다. 곡을 의뢰하면서 자신이 마음에 들어 했던 슈베르트의 가곡 ‘송어’의 주제를 넣어 달라고도 부탁했다. 이렇게 해서 피아노 5중주 ‘송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 곡은 실내악 장르에 있어 슈베르트가 작곡한 최초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편성은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편성은 일반적으로 찾아보기 흔치 않은 비범한 편성이다. 맑은 물속을 헤엄치는 송어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음악 속에서 드러난다.

Members of Amadeus Quartet with Clifford Curzon(piano)

Aldeburgh 1977

1. Allegro vivace

2. Andante

3. Scherzo (Presto)

4. Thema mit Variationen (Andantino)

5. Finale: Allegro giusto

 슈베르트 / 송어 / 거장들의 연주|┠♬ 클래식감상 ▒┨
제뉴어리 | 조회 24 |추천 0 |2014.08.31. 01:09 http://cafe.daum.net/SPOFriends/CnO5/4086 

 

Franz Schubert
Piano Quintet in A Major op.114 'The Trout' (송어)

- 4악장 Andantino (주제와 변주곡)-


1969년 런던의 퀸 엘리자베스 홀에서 21세의 젊은 주커만이 비올라 파트를 맡아 연주한 피아노5중주 영상이다.
Daniel Barenboim (pf),
Itzhak Perlman (vn),
Jacqueline du Pre(vc),
Pinchas Zukerman(va),
Zubin Mehta(bass)
훗날 '유태인 음악 마피아'(The Jewish Musical Mafia) 라고 불리기도 한 이들 다섯 거장이 젊은 시절 함께 펼치는 열정적인 연주 모습이 퍽 감동적이다.


바렌보임의 아내로 42세에 요절한 천재 여성 첼리스트 재클린 뒤프레(1945 ~ 1987)의 모습이 눈길을 끈다.(펌

 

 

 

 

 

 

Schubert, Piano Quintet Op.114, D667

'The Trout'

슈베르트 / 피아노 5중주 '송어'

Franz Peter Schubert 1797-1828

Alfred Brendel piano

James van Demark double-bass

Cleveland String Quartet members 1977


 

아플 때 약이 되는 음악이 있다. 머리가 아플 때 말러나 바그너의 음악을 들을 수는 없을 것이다. 슈베르트의 음악이야말로 치유하는 음악, 약이 되는 음악에 가깝다고 생각한다. 그것도 요란스런 양약이 아니고 자기도 모르는 사이에 나아버리는 생약이 아닐까. 슈베르트의 이 작품을 이야기하면서 슈베르트와 친했던 당대의 명가수 이야기를 빼놓을 수 없다. 슈베르트가 아직 세상에 이름이 알려져 있지 않았을 때 이미 성악가로 명성이 높았던 요한 미하엘 포글(바리톤)이 그 주인공이다.

 

 

슈베르트보다 30세가 위였던 포글은 빈 국립오페라의 명 바리톤이었고, 연가곡 <겨울 나그네>를 비롯해 수많은 슈베르트의 가곡을 소개해 슈베르트의 뛰어난 재능을 널리 알렸던 가수였다. 슈베르트는 포글을 위해 많은 가곡을 작곡해주기도 해 둘은 서로 가까워졌다. 이들이 친하게 된 것은 ‘슈베르티아데’라고 하는 슈베르트를 돕기 위한 모임을 통해서였다. ‘슈베르트의 밤’이란 뜻의 이 모임에는 슈베르트와 어린 시절부터 기숙사 생활을 같이 한 슈파운을 비롯, 시인인 마이어호퍼, 천재 화가 슈빈트, 그리고 포글이 참가하고 있었다. 멤버들은 밤마다 모여 음악을 연주하고 춤을 추고, 시를 읊고, 문학을 논했다.


유쾌하고 명랑하게 뛰노는 송어의 움직임

1817년, 슈베르트는 가곡 ‘송어’를 작곡했고 그 해 포글이 슈베르티아데에서 초연했다. 이 가곡은 송어가 유쾌하고 명랑하게 뛰노는 광경을 그렸다. 가곡의 줄거리는 대략 이렇다. 거울같이 맑은 시내에 송어가 화살처럼 헤엄치며 놀고 있다. 작중 화자는 이리저리 헤엄치는 송어의 모습을 바라보고 있다. 그때 한 어부가 송어를 잡기 위해 낚시를 드리운다. 그러나 물이 너무 맑아서 송어가 잡히지 않는다. 결국 어부는 물을 흐려놓은 후에 송어를 잡았고, 작중 화자는 어부의 속임수에 걸려든 송어를 당황스런 마음으로 바라보았다는 것이다.

슈파운의 집에서 열린 슈베르티아데 모임을 그린 그림. 피아노 치는 슈베르트(가운데) 오른쪽에 앉은 사람이 성악가 요한 미하엘 포글이다.

간혹 ‘송어’를 ‘숭어’라고 우기는 사람들도 적잖이 있다. 그러나 결론부터 말하면 ‘숭어’는 틀리고 ‘송어’가 맞다. 그 이유는 바로 ‘맑은 시내에’라는 대목에 있다. 송어가 민물고기이고 숭어는 바닷고기이기 때문이다. 이 피아노 5중주에 ‘송어’라는 제목이 붙은 이유는 가곡 ‘송어’의 선율을 주제로 한 변주곡이기 때문이다. 음악 전체를 통해 신선한 느낌이 발산되고 있으며, 마치 깊은 산 속의 여름을 떠올리게 하는 상쾌한 기분이 넘쳐흐르고 있다. 곡의 음악적 구조가 완만해서 설득력이 부족하다는 평도 있지만, 슈베르트의 청년다운 패기와 순수가 넘치는 걸작이다.

1819년, 22세의 슈베르트는 성악가 포글과 함께 북부 오스트리아의 슈타일을 비롯해 린츠 지역으로 연주와 피서를 겸한 여행을 떠났다. 두 사람은 7월 13일부터 9월 중순까지 이곳에 머물렀는데 휴가지에서 만난 질베스터 파움가르트너라는 광산업자로부터 후한 대접을 받았다. 파움가르트너는 관악기와 첼로를 연주할 수 있었던 음악 애호가였다. 그의 집은 그 지역 음악의 중심지처럼 여겨지고 있었다. 파움가르트너는 슈베르트에게 자신이 직접 연주에 참여할 수 있도록 작곡을 하나 해달라고 의뢰했다. 곡을 의뢰하면서 자신이 마음에 들어 했던 슈베르트의 가곡 ‘송어’의 주제를 넣어 달라고도 부탁했다. 이렇게 해서 피아노 5중주 ‘송어’가 탄생하게 된 것이다. 이 곡은 실내악 장르에 있어 슈베르트가 작곡한 최초의 걸작으로 평가된다. 편성은 피아노, 바이올린, 비올라, 첼로, 더블베이스로 이루어져 있는데, 이러한 편성은 일반적으로 찾아보기 흔치 않은 비범한 편성이다. 맑은 물속을 헤엄치는 송어의 리드미컬한 움직임이 음악 속에서 드러난다.

Members of Amadeus Quartet with Clifford Curzon(piano)

Aldeburgh 1977

1. Allegro vivace

2. Andante

3. Scherzo (Presto)

4. Thema mit Variationen (Andantino)

5. Finale: Allegro giu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