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79년 여름, 오스트리아의 푀르차흐에서 휴양중이던 브람스는 오랜 친구인 테오도르 빌로트(외과의사이자 아마추어 피아니스트)에게 편지를 썼다. “한 번 연주해 보세요. 몇 번이나 해볼 필요는 없습니다. 온화하고 가벼운, 비 오는 저녁의 약간 달콤씁쓸한 분위기가 날 겁니다.” 그는 브람스의 사보가였던 흘라바체크와 함께 자신의 집에서 연주해본 후에 작곡가에게 답장을 썼다. “어둠 속에서도 눈을 감고 들어야만 할 정도로 독특한 분위기의 음악이군요.”
브람스가 발표한 첫 번째 바이올린 소나타
쏟아져라, 비여, 쏟아져라 / 물방울이 모래에 거품을 일으킬 때 / 나는 어린 시절 꾸었던 꿈들을 / 다시 떠올린다. 찌는듯한 여름 무더위가 / 이따금 신선한 냉기와 / 이슬에 흠뻑 젖은 잎사귀 / 그리고 진한 푸른 색으로 물든 들판에 맞서 발버둥칠 때, 이 호우 속에 / 잔디밭을 맨발로 밟고 서 있을 때, / 이 거품들에 손을 대어볼 때, 혹은 차가운 물방울들을 맞기 위해 / 뺨을 내밀 때, / 그리고 그 싱그러운 공기를 가스에 품을 때의 / 환희란! 물방울이 또르르 흘러 들어가는 꽃봉오리처럼 / 영혼은 가슴을 활짝 열고 숨쉰다. / 향기에 취한 꽃처럼, / 천국의 이슬에 흠뻑 젖는다. 심장부를 흔들며 /증발해버리는 빗방울 하나하나, / 은둔의 삶을 살아가고 있는 내 안에 / 파고드는 우주만물의 신성함 쏟아져라, 비여, 쏟아져라. / 빗방울이 바깥을 두드릴 때마다 / 우리가 문간에서 부르던 /옛 노래들을 떠올린다. 나는 이 달콤하고 촉촉한 빗소리를 / 다시 듣고 싶다. / 성스럽고 순수한 경외감에 /부드럽게 젖는 내 영혼
- 클라우스 그로트 ‘비의 노래’
사실, 브람스는 작품을 발표하는 데 있어 신중하기로 유명한 사람이었다. 이 작품 이전에도 바이올린 소나타를 네 곡 정도 쓴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중에서 이십대 초반에 쓴 작품은 분실되었으며 나머지 작품들은 브람스 스스로가 파기한 것으로 짐작된다. 다만 1853년에 브람스가 디트리히, 슈만과 함께 바이올리니스트 요아힘과의 우정을 기리기 위해 [FAE (Frei aber einsam) 소나타]를 작곡한 적은 있다. 하지만 이 곡은 어디까지나 순수한 우정을 위해 쓴 작품이며 오직 스케르초 악장만을 브람스가 썼기 때문에 엄격한 의미의 콘서트용 작품은 아니었다.
어두운 기억, 희망의 뉘앙스가 뒤섞인 브람스의 낭만주의 바이올린 협주곡으로 성공의 기쁨을 맛보았던 브람스가 자신감 있게 써내려간 작품이 바로 [바이올린 소나타 1번]이며, 이 작품을 시작으로 마지막 [바이올린 소나타인 3번]을 작곡하기까지 놀라운 집중력으로 대단히 생산적인 시기를 보냈다. 1888년까지 약 10년 동안 [교향곡 3번]과 [4번] 그리고 [피아노 협주곡 2번] 등의 작품을 작곡하면서 브람스는 자신의 인생이 새로운 단계로 나아가고 있다는 걸 느꼈다.
낭만주의의 핵심적인 문구는 ‘먼 곳에 대한 동경’이며, 독일의 낭만파 시인 빌헬름 바켄로더가 말한 그리움의 나라는 바로 음악의 나라였다. 하이델베르크 대학의 독문학 교수였던 프리드리히 군도르프는 낭만주의에 대해 “시작은 화약과 같았고, 곧이어 마법의 분장으로 이어졌으며, 마지막에는 수면제로 끝났다”고 결론짓고 있는데 우리는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에서도 이러한 특징을 발견할 수 있다. 물론 이 작품은 어둠의 기억으로만 물들어 있지 않다. 여기에는 어떤 경쾌한 발걸음 같은 희망적인 뉘앙스들이 내포되어 있으며 세상에 대한 긍정도 함께 숨쉰다. 그의 [바이올린 소나타 3번]이 비극적인 색채로 치장된 절망의 노래라면 [바이올린 소나타 1번]은 사십대 중반을 이제 막 넘긴 브람스의 비전이 제시되어 있다. ‘브람스 서클’의 일환이었던 엘리자베트 폰 헤어초겐베르크는 친구에게 보내는 편지에서 이 음악이 가져다준 감동에 대해 적고 있다. “어제 브람스의 [바이올린 소나타 1번]을 들었다. 그리고 나는 곧 눈물을 흘려야했다.”
1악장 - 비바체 마 논 트로포
1,Vivace ma non troppo
2악장 - 아다지오 브람스가 작곡한 느린 악장 중에서 가장 매력적인 이 악장은 분위기의 미묘한 변화가 대단히 신선하다. 민요 스타일의 친근한 음악은 호소력이 짙으며, 1악장과 3악장의 화사함과는 또다른 세계를 선사해주는데 어둠 속에서 울려퍼지는 감정의 진폭을 느낄 수 있다.
2,Adagio
3악장 - 알레그로 몰토 모데라토
3,Allegro molto moderato
|
'그룹명 > 바람이 전하는 음악'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크랩] . (0) | 2010.01.25 |
---|---|
가슴을 적시는..... Gypsy Lament (집시의 탄식) (0) | 2010.01.25 |
비에냐프스키 - 전설(Legende) (0) | 2010.01.22 |
베토벤 / 피아노 협주곡 제4번, G장조 Op. 58 - 에밀 길레스(pf) (0) | 2010.01.19 |
모차르트 - 변주곡 / 어머님께 말씀 드리죠 - 클라라 하스킬 연주 (0) | 2010.01.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