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ntonin Leopold Dvorak
1841-1904 체코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바이올린 협주곡 가단조 Op.53
가단조 Op.53
Violin : Sarah Chang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Conductor : George Szell
드보르작은 자신의 작품을 개작하는데 힘썼다
그의 바이올린 협주곡과 두번째 피아노 5중주의
공통적인 특징은 흥미롭게도 방법은 달랐으나
모두 개작의 결과로 잉태된 작품이라는 점이다.
음악의 풍부함을 더하기 위해 젊은 시절에
작업한 작품의 개작에 적극적이었다.
첫번째 악장과 두번째 악장을 이어주는 패시지가
이 협주곡의 가장 아름다운 부분 가운데 하나라는
점은 드보르작의 기준에 따르더라도 이 협주곡은
풍부한 서정성으로 가득한 작품이다.
첫번째 악장은 오케스트라의 힘찬 합주에
화답하는 바이올린의 씁쓸하면서 달콤한 선율로
대담하게 시작한다.
독주자와 오케스트라간의 주고 받음은 이 악장의
주요부분으로 이끌어나가는데,
이곳에서 바이올린은 이례적으로 침묵을 지킨다.
자그마한 카덴차는 느린 악장으로 절묘하게
이어지기 시작하고,
이 부분의 절묘한 선율은 폭풍우같이 몰아치는
단조의 중심부를 이루는 에피소드가 등장하며
중단된다.
결말부는 한해 전에 작곡된 슬라브 춤곡의
세계와 유사하다.
체코의 furiant의 교차운율로 수놓아진
주제부를 가진 매력적인 선율은 상쾌한 종결을
짓기 전 다채로운 에피소드의 틀을 제공한다
Dvorak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제 1악장 : Allegro ma non troppo (11:32)
Violin : Sarah Chang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Conductor : George Szell
제 1악장 : Allegro ma non troppo
이 곡이 다른 협주곡들과 형식상의 차이가 있다면,
제 1악장의 처음 부분이다.
브람스등 여러 바이올린 협주곡을 보면
처음 독주 파트가 나오기까지 다른 악기들이
오랜 동안 전주를 연주하는데 이 곡은 처음에
모든 악기가 총동원되어 한 음절을 연주한 후
곧바로 바이올린 독주가 나온다.
중간 부분에 보면 오보소리와 어울려 바이올린이
연주되는 곳이 있는데 바이올린의 독주는 마치
잔잔한 파도 위의 한 척의 배와 같이 평화롭고
물 흐르듯 실려가게 된다.
Dvorak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제 2악장 : Adagio ma non troppo (09:40)
Violin : Sarah Chang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Conductor : George Szell
제 2악장 : Adagio ma non troppo
약간 서글픈 듯한 음색의 바이올린과 그 뒤의
목관악기들의 어울림이 마음을 무겁게 한다.
중반부에 들어서면서 들려오는 플루트 소리가
왜 그렇게 따스하게만 느껴지고
가슴을 쥐여 짜는 듯한 바이올린 음색이 좋다
후반부로 가게 되면서 전 악기가 동원되면서
받쳐 가는 건 트럼펫이다.
마지막으로 호른 소리와 함께 바이올린 독주가
나아가다가 조용하게 2악장을 마치게 된다.
Dvorak Violin Concerto in A minor, Op.53
제 3악장 : Finale Allegro giocoso (12:44)
Violin : Sarah Chang
Czech Philharmonic Orchestra
Conductor : George Szel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