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EETHOVEN] 베토벤 / 교향곡 제3번 Eb 장조 작품 55 '영웅' (Beethoven / Symphony No.3 in Eb major, Op.55 'Eroica')
Beethoven, Ludwig van (1770-1827 G.) 의 교향곡 제3번 Eb 장조 작품 55 '영웅' Symphony No.3 in Eb major, Op.55 'Eroica' 를 감상하겠습니다.
악성 베토벤은 고전 음악의 최대의 완성자인 동시에 그 완전한 형식적인 예술에 보다 인간적이고 정신적인 내용을 담은 위대한 작곡가였습니다. 그는 영웅적인 백절불굴의 투지로서 모든 난관을 극복한 승리자였으며 철학자이며 사상가였습니다. 그는 자유와 평등 그리고 인간애를 실천한 인도주의자였습니다. 뿐만 아니라 그의 음악은 고전의 형식미에서 벗어나 낭만주의 음악에 문을 연 교량적인 역할을 한 음악가였습니다.
그의 집안은 할아버지, 아버지가 모두 음악가였는데 그의 아버지는 그를 제2의 모짜르트로 만들기 위해 교육을 시켰습니다. 그는 모짜르트처럼 신동은 아니였으나 음악적인 천분을 마침내 들어내기 시작했습니다. 그는 17세 때에 그 당시 음악의 중심지였던 비인으로 갔습니다. 그의 본격적인 음악 교육은 이 때부터.시작되었다고 하겠습니다. 1792년 22세 때에 그가 비인에 나타났을 때는 작곡가라기보다는 먼저 피아니스트로 활약하기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그에게는 너무나 많은 역경과 고난이 겹쳐 들었습니다. 생활은 곤란했고 사랑은 실패했으며 음악가로서는 치명적인 귓병을 앓고 있었습니다. 1814년 이래 그는 완전한 귀머거리가 되었습니다. 하지만 그같은 고통 속에서도 비할 바 없는 위대한 예술이 나타났습니다.
1815년 이후의 작품은 그의 모든 창작 중의. 일대 전환인데 웅대한 구상과 자유로운 형식, 진지한 표현 등은 거성이 아니고는 감히 도달할 수 없는 높은 경지라고 하겠습니다. 그의 작품은 낭만적인 영향도 받았지만 감정에 치우치지 않았고 냉정했으며 안정된 형식미를 갖추는 것을 잊어버리지 않았습니다. 따라서 생명의 체험을 합리적인 형식을 통해 표현하였습니다. 그의 작품은 보통 3기로 나누는데, 제1기((1786-1803) 초기의 작품으로서 하이든과 모짜르트의 영향을 받은 때입니다. 교향곡 제1,2번이 이 시기의 작품입니다. 제2기(1804-1816) 개성을 유감없이 발휘한 독창적인 시기입니다. 교향곡 제3번에서 제8번까지의 작품입니다. 제3기(1817-1827) 초인간적인 최고의 예술인데 영감의 창작기입니다. 청각을 거의 잃어버린 이후의 감각을 초월한 시대의 작품을 보였습니다. 이 무렵의 작품으로는 교향곡 제9번 등이 있는데 형식과 내용에 있어서 음악사상 최고에 속합니다. 베에토벤이야말로 많은 유산을 우리 인류에게 남겼다고 하겠습니다.
Symphony No.3 in Eb major, Op.55 'Eroica'
인간의 해방을 부르짖던 베토벤의 일면을 이 교향곡 제3번에서 찾아볼 수 있을 것입니다. 프랑스 혁명에 뒤이어 나폴레옹은 의회군(軍)을 지휘하여 여기에 가담하였습니다. 민중의 권리를 옹호하고 자유의 정신에 불타 있던 베토벤은 프랑스 혁명을 흥미있게 바라보고 있었습니다.
1782년 2월부터 4월까지 그 때 비인에 주재하고 있던 프랑스의 대사와 대사관의 비서역이며 바이올리니스트였던 루돌프 크로이쩌로부터 프랑스에 자유와 질서를 가져 온 나폴레옹의 업적에 대해 자세하게 들을 기회가 있었습니다. 플라톤의 <공화국>을 숙독한 바 있던 베토벤은 이 시대의 영웅의 작태를 그의 작품으로 찬미하려 했습니다. 그리하여 33세 때인 1803년 여름, 이 작품의 작곡에 착수하여 1804년 봄에 완성시켰습니다. 스코어의 표지에는 Bonaparte라고 썼으며 밑에 Ludwig van Beethoven이라고 썼습니다. 이를 프랑스 대사관을 통해 파리로 보내려 할 무렵, 나롤레옹이 황제가 되었다는 보도가 비인에 퍼졌습니다. 이 소식에 분개한 베토벤은 그 사본의 표지를 찢어 버렸다고 합니다. 나폴레옹도 이를테면 속된 사람이었습니다. 자기의 야심을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민중의권리를 유린하고서 누구보다도 심한 폭군이 될 것이라는 말을 하고서 그 이래로 나폴레옹에 대해서는 일체 언급하지 않았습니다.
17년 후 나폴레옹이 세인트헬레나 섬에서 죽었다는 보도를 듣고 비로소<나는 결말에 적절한 음악을 써 두었다.>라고 했습니다. 그것은 이 작품에 있는 장송행진곡을 의미하는 것입니다. 후에 이 작품을 “심포니아 에로이카(영웅 교향곡) 혹은 “한 위인의 추억을 위해”라고 써서 로브코비치공에게 바쳐졌습니다.
이 작품에서는 지금까지 그의 선배들의 영향인, 모방기에서 벗어난 독창적인 시기였습니다. 그의 감정을 나타내는 강한 개성의 힘과 양식의 균형을 가지고 휼륭하게 왕성시켰습니다. 이 작품은 1805년 4월 7일 안 데아 비인 극장에서 초연되었습니다.
1 mov. Allegro con brio 2 mov. Marcia funebre : Adagio assai 3 mov. Scherzo : Allegro vivace 4 mov. Finale : Allegro molto

Symphony No.3 in Eb major, Op.55 'Eroica' Beethoven, Ludwig van (1770-1827 G.) Bratislava Radio Symphony Orchestra Michael Halasz : Conductor
----------------------------------------------------------------------------------------------------------------------------------------------------------------------------- 1악장]
3박 이면서 동시에 1박이다
너무 밝게 표현하지 않아야 한다.
2악장]
장송곡- 죽음,애도,처절함 고통
가장 처절하게 연주해야한다.
완결편
코드, 숫자 2 - 같음과 다름,삶과 죽음
현과 목관의 주고 받음
플룻 -- 청초함이 살아남, 투명한 느낌
젊은 영웅의 절룩이는 듯한 모습 표현
콘트라, 트럼펫 - 영웅의 모습
죽음의 그림자
성악곡처럼 연주해야 한다.
감성적이고 느린템포로 연주
긴장감을 가지고 기존 상식을 뒤집다.
너무 어둡지 않게 가끔 비엔나 왈츠 사용
3악장]
그로테스크한 느낌의 스케르초
플룻 속도 - 영웅의 질주, 스토리 텔링적
호른의 주도 - 팡파레 이지만 불안하고 코믹
동키호테 같은 영웅묘사
숫자 4 등장 - 2악장의 4와는 다름 제시
4악장]
복합적
아름답고 다채로움(완벽한 아룸다움)
품격높은 희극을 보는 듯한,구도,각도 이상적인 미학
기능적으로 완벽- 뛰어난 작곡 실력 엿보임
인간의 퍼펙션한 모습
베토벤 푸가 - 아카데믹, 완벽함
프로메테우스 - 또 다른 영웅의 등장
터키행진곡 등장 - 동경, 2악장의 장송행진곡과 극적인 대조 - 숫자 2의 개념
즐거우면서 어려운 악장
카덴짜- 오보에 등장 내면의 소리- 진정한 교향곡 3번의 결말
고뇌에서- 다시 밝아짐 - 해피엔딩
혼에서 다시 영웅의 모습이 나타남
두 영웅 등장 -호른-- 1영웅
트럼펫,팀파니- 2영웅
2박자 춤곡 등장
가장 확장되어진 영웅의 모티브 등장
베토벤 음악 --끝없은 엔딩이 특징
|




박성준 샘이 1월4일 베를린에서 공연 전 직접 리허설 하는 영상으로 강의를 들으니
새로운 느낌이었고 어려운 곡이지만 이해하는데 많은 도움이 되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