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 시즌의 마감은 예년과 다름없이 마에스트로 정명훈이 지휘하는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입니다. 관습을 뛰어넘어 인류의 하나됨을 노래하는 대작을 들으며 또 하나의 해를 의미 깊게 마무리 하고자 합니다.
[프로그램]
베토벤: 교향곡 9번 '합창'
Beethoven: Symphony No. 9 in d minor, Op. 125 'Choral'
[프로필]
지휘 정명훈 Myung-Whun Chung, conductor
지휘자 정명훈은 1974년 차이코프스키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피아노 부문 준우승을 차지하며 국제 무대에 데뷔하였다. 뉴욕 매네스 음대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한 그는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가 상임지휘자로 재직하던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를 거쳐 독일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상임지휘자(1984~1990),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의 음악감독(1989~1994)을 지내며 세계적인 지휘자의 반열에 올랐다. 그동안 베를린 필하모닉, 빈 필하모닉,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런던 심포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뉴욕 필하모닉, 시카고 심포니 등 세계 최고의 교향악단을 지휘하였으며, 뉴욕 메트로폴리탄과 밀라노 라 스칼라 극장을 비롯한 전 세계 오페라 극장에서 오페라를 지휘하였다. 또한 1990년부터 세계적인 음반 레이블 도이치 그라모폰(DG)의 전속 아티스트로서 20여 장의 음반을 레코딩하며 음반상을 휩쓸었으며, 특히, <사중주를 위한 협주곡>을 그에게 헌정하기까지 한 메시앙의 음반들(<투랑갈릴라 교향곡>, <피안의 빛>, <그리스도의 승천> 등)과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베르디의 <오텔로>, 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드 부인> 등은 최고의 음반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8년 이탈리아 비평가들이 선정한 '아비아티 상'과 이듬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을 받았으며, 1991년 프랑스 극장 및 비평가 협회의 '올해의 아티스트 상', 1992년 프랑스 정부의 '레종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95년 프랑스에서 '브루노 발터 상'과 프랑스 음악인들이 선정하는 '음악의 승리상'에서 최고의 지휘자상을 포함 3개 부문을 석권한 데 이어, 2003년에 다시 이 상을 수상했다. 국내에서는 1995년 유네스코 '올해의 인물'로 선정된 바 있는 정명훈은 음악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가 수여하는 최고 문화훈장인 '금관 훈장'을 받았고, 1996년 한국 명예 문화대사로 임명되어 활동한 바 있다. 2002년 국내 방송사에서 실시한 문화예술부문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서 음악분야 최고의 대표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협연 소프라노 마리아 루이자 보르시 Maria Luigia Borsi, soprano
메조소프라노 양송미 Songmi Yang, mezzo soprano
테너 김정훈 Junghoon Kim, tenor
베이스 박종민 Jong Min Park, bass
합창 국립합창단 The National Chorus of Korea (예술감독: 구천)
서울모테트합창단 Seoul Motet Choir (상임지휘자: 박치용)
안양시립합창단 Anyang Civic Chorale
마침 휴가나온 아들과 함께
'그룹명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명훈 피아노 리사이틀 (2015.01.10) 아람누리 (0) | 2015.01.14 |
---|---|
정명훈과 서울시향의 신년음악회 (2015.01.05) 세종문화회관 (0) | 2015.01.06 |
하트시각장애인 체임버오케스트라/제11회 정기연주회 (2014.12.22) 세종체임버홀 (0) | 2014.12.24 |
SPO-Day / 서울시향 (2014.12.21) 예술의 전당 (0) | 2014.12.22 |
오페라 감상 <뉘른베르그의 명가수 >-바그너 (2014.12.20) (0) | 2014.12.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