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모차르트 - 교향곡 41번 '주피터'
Mozart - Symphony No. 41 'Jupiter'
모차르트 - 레퀴엠
Mozart - Requiem
[출연자]
예술감독 : 정명훈 _ Myung-Whun Chung, Music Director
세계 정상의 지휘자 정명훈은 1974년 모스크바에서 개최된 제5회 차이콥스키 콩쿠르에서 한국인 최초로 피아노 부문 준우승을 차지하며 국제무대에 데뷔했다. 뉴욕 매네스 음대와 줄리어드 음악원에서 공부한 그는 1978년 거장 카를로 마리아 줄리니가 상임지휘자로 재직하던 로스앤젤레스 필하모닉의 부지휘자가 되었다. 정명훈은 독일 자르브뤼켄 방송교향악단 상임지휘자(1984~1990), 피렌체의 테아트로 코뮤날레 수석객원지휘자(1987~1992), 파리 바스티유 오페라 음악감독(1989-1994)을 역임했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라디오 프랑스 필하모닉 음악감독을 맡고 있으며, 1997년부터 2005년까지 로마 산타 체칠리아 아카데미의 수석지휘자를 맡기도 했다. 또한 도쿄 필하모닉의 특별음악고문으로 활동하고 있으며, 2006년부터 서울시립교향악단 예술감독으로 활동중이다. 정명훈은 그동안 베를린 필하모닉, 빈 필하모닉, 로열 콘세르트허바우, 런던 심포니, 드레스덴 슈타츠카펠레, 라이프치히 게반트하우스, 뉴욕 필하모닉, 시카고 심포니, 클리블랜드 오케스트라 등 세계 최정상의 교향악단을 지휘했으며, 뉴욕 메트로폴리탄과 파리 바스티유를 비롯한 전 세계 오페라 극장에서 오페라를 지휘했다. 1990년부터 세계적인 음반 레이블 도이치 그라모폰(DG)의 전속 아티스트로서 20여 장의 음반을 레코딩하며 음반상을 휩쓸었으며, 특히, <사중주를 위한 협주곡>을 그에게 헌정하기까지 한 메시앙의 음반들(<투랑갈릴라 교향곡>, <피안의 빛>, <그리스도의 승천> 등)과 베를리오즈의 <환상 교향곡>, 로시니의 <스타바트 마테르>, 림스키코르사코프의 <세헤라자데>, 베르디의 <오텔로>, 쇼스타코비치의 <므첸스크의 맥베드 부인> 등은 최고의 음반으로 평가받고 있다. 1988년 이탈리아 비평가들이 선정한 '아비아티 상'과 이듬해 '아르투로 토스카니니 상' 을 받았으며, 1991년 프랑스 극장 및 비평가 협회의 '올해의 아티스트 상', 1992년 프랑스 정부의 '레종 도뇌르' 훈장을 받았다. 1995년 프랑스에서 '브루노 발터 상' 과, 프랑스 음악인들이 선정하는 '음악의 승리상' 에서 최고의 지휘자상을 포함 3개 부문을 석권한 데 이어, 2003년에 다시 이 상을 수상했다. 일본에서는 1995년 영국의 필하모니아 오케스트라와 가진 일본 데뷔 공연이 '올해 최고의 연주회' 에 선정되었고, 이듬해 런던 심포니 공연 역시 최고의 공연으로 기록되었으며, 2001년 도쿄 필하모닉의 특별예술고문 취임 연주회 등으로 열광적인 찬사와 존경을 한 몸에 받고 있다. 1995년 유네스코 '올해의 인물' 로 선정된 바 있는 정명훈은 음악발전에 기여한 공로로 정부가 수여하는 최고 문화훈장인 '금관 훈장' 을 받았고, 1996년 한국 명예 문화대사로 임명되어 활동한 바 있다. 2002년 국내 방송사에서 실시한 문화예술부문 전문가 대상 설문조사에서 음악분야 최고의 대표예술인으로 선정되었다.
테너 강요셉
베를린 도이체오퍼에서 한국인으로는 최초 전속 주역가수로 활동 중인 강요셉은 삼육대학교와 독일 베를린 국립음대(UdK)를 거쳐 2002년부터 도이체 오퍼 베를린에서 활동하고 있다. 비오티 국제 성악 콩쿠르, 벨베데레 국제 성악 콩쿠르, 모차르트 국제 콩쿠르, 비냐스 국제 성악 콩쿠르, 탈리아비니 국제 성악 콩쿠르 등에서 입상하였고 2001년 쾰른 오페라극장에서 <장미의 기사>의 가수 역으로 데뷔한 이래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한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주요 출연작으로는 오페라 <세빌리아의 이발사>(비엔나 쉔부른 궁전 극장, 베를린 슈타츠 오퍼, 슈투트가르트 오페라극장, 쾰른 오페라극장, 하노버 국립오페라극장 등), <마술피리>(베를린 도이체오퍼, 슈투트가르트 오페라극장), <장미의 기사> (뮌헨 슈타츠오퍼, 베를린 코미쉐오퍼, 베를린 도이체오퍼) 등을 들 수 있다.
소프라노 임선혜
세계 음악계에서 뜨거운 찬사를 받으며 특히 유럽 무대에서 거침없는 행보를 보이고 있는 소프라노 임선혜는 1998년 서울대 음대(박노경 사사)를 졸업한 후 독일 정부 학술 교류처(DAAD)장학생으로 칼스루에 국립음대(롤란드 헤르만 사사)에서 유학하던 중 23세에 고음악계의 거장 필립 헤레베게에 발탁되며 모차르트로 고음악계에 발을 들여 놓게 된다.
필립 헤레베게(PhilippeHerreweghe), 윌리엄 크리스티(William Christie), 르네 야콥스(Rene Jacobs), 파비오 비온디(Fabio Biondi), 지기스발트 퀘켄(Sigiswald Kuijken), 죠반니 안토니니(Giovanni Antonini)등 고음악계 거장들의 콘서트에 솔리스트로 활약하는 임선혜는 바흐, 헨델, 비발디, 하이든, 모차르트 등을 주요 레퍼토리로 유럽, 아시아, 미국에서 여러 차례 공연 투어를 하는 한편, 마렉 야놉스키(Marek Janovski)와 베를린필하모니에서 멘델스존의 <파울루스>를, 톤 콥프만(TonKoopmann) 지휘로 뉴욕필과 <메시아>을 협연하였고 이반 피셔(Ivan Fischer)와 뉴욕 링컨센터에서 열리는 '모스틀리 모차르트' 페스티벌에서 <돈 조반니> 체를리나 역을 노래했으며 슈투트가르트 극장에서 작품 <피가로의 결혼>, <이도메네오>, <카르멜수녀들의 대화>을 함께 한 만프레드호넥(Manfred Honeck)의지휘로 <말러4번>을 피츠버그 심포니와협연, 실황 음반 녹음을 하였다.
2000년 프랑크푸르트 오페라에서 <피가로의 결혼>의 바르바리나 역으로 오페라 데뷔를 한 임선혜는 하노버 국립극장 소속단원(2001-03)을 거쳐 함부르크 국립극장, 베를린 슈타츠오퍼, 도이체 오퍼, 바덴 바덴 페스트슈필하우스, 파리 갸르니에, 샹젤리제 극장 등에서 유수의 지휘자들과 정상급오페라 극장에서 공연하였는데 특히 명실상부 고음악계 최고의 거장인 르네 야콥스와의 모차르트오페라 음반 시리즈는 그래미에 노미네이트 되고 그라모폰, 독일 비평가상 등 유럽 내·외의유수한 음반 상을 휩쓸었고, 그녀는 아름다운 음성과 더불어 매 음반마다 새로운 역할 해석과 음악적 유연성으로 세계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으며 이 시대의 젊은 모차르트 소프라노로 자리매김하였다. 한편 서울대 재학시절 국내 슈베르트 콩쿠르를 우승하며 참가하게 된 일본의 국제슈베르트 가곡 콩쿠르에서 2위(최연소 입상)와 청중상을 함께 받았을 만큼 예술가곡 연주에 남다른 애정이 있는 임선혜는 독일과 프랑스에서 예술가곡을 자주 연주하고 있으며 특히 지난 7월에는 스위스 프리부룩에서 열린 국제 예술가곡 페스티벌에서 한국 예술가곡으로 독창회를 열기도 했다.
유럽의 자존심인 바로크 음악의 정상에 우뚝 선 유일한 동양인이자 고음악계 최고의 프리마돈나로 격찬 받고 있는 소프라노 임선혜는 투명하고 서정적인 음색과 변화무쌍하고 당찬 연기력으로 현재도 꾸준히 세계적인 거장들의 러브콜을 받으며 종횡무진 세계무대를 누비고 있다. 2008년<세 스승에게 바치는 장미꽃>이란 타이틀로 첫 고국 독창회를 순수 예술가곡들로 연주하였고 2009년에는 국립 오페라단의 <사랑의 묘약> 아디나 역으로 국내 오페라에 데뷔한 후 2010년 국립오페라단, 정명훈 지휘의 <이도메네오>에서 일리아를 노래하였다. 한편 2009년부터 매년 명동성당에서 자선음악회인 <임선혜의 희망 나눔 콘서트>를 열고 있다.
음반
바흐 <비단조미사>
하이든 <에스터하치 칸타타>, <천지창조>, <하모니 미사>
헨델 <시로에>, <아그립피나>, 모차르트 <티토의 자비>, <돈 조반니>, <이도메네오>
<마술피리>, 테라데야스 <아르타세르세>, <세소스트리>, 마틴 이 솔레르 <꿈>
말러 <교향곡 제4번>
포레 <레퀴엠>
실황 DVD
돈 조반니(2006), 오르페오(2008), 하이든 하모니 미사(2009), 오를란도 팔라디노(2009)
소프라노 임선혜
메조소프라노 양송미
메조 소프라노 양송미는 서울대학교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오스트리아 그라츠 국립음대에서 Bakk. Art. 와 Mag. Art. 학위를 취득했다. 동아콩쿠르, 스페인 비냐스 콩쿠르 입상에 이어 오스트리아 빈 슈타츠오퍼와 그라츠 오페라에서 <카르멘> <낙소스 섬의 아리아드네> <발퀴레> <마술피리> <수녀 안젤리카> 등 수십 편의 오페라에 출연했고, 귀국 후 국립오페라단, 서울시오페라단, 예술의전당 오페라 등에서 <돈 카를로> <살로메> <아이다> <카르멘> <베르테르> <노르마> <일 트로바토레> <리골레토>의 주역으로 활동하였으며, 2009년에는 정명훈의 지휘로 국립오페라단의 <이도메네오>에 주역으로 출연했다. 한편 MBC 가을맞이 가곡의 밤, KBS 신작 가곡의 향연에서 한국가곡을 연주하고, 국립합창단의 정기 연주회에서 <메시아> <유다스 마카베우스> <대관식 미사>의 솔로이스트로 협연하였으며, 지난해에는 TIMF앙상블과 말러의 '죽은 아이를 그리는 노래' 와 '교향곡 4번' 을연주하였다. 서울시향, KBS교향악단과 말러의 '교향곡 8번' 에서 솔로이스트로 협연했고, 서울시향의 송년음악회 신년음악회에 출연하는 등 활발한 연주활동을 하는 한편, 서울대, 국민대, 덕원예고에 출강하고 있다.
베이스 바리톤 사무엘 윤
베이스 바리톤 사무엘 윤은, 세계적으로 저음가수들의 꿈인 바그너의 성지, 바이로이트 바그너 페스티발 에서 방황하는 네덜란드인 타이틀 역인 네덜란드인을 성공리에 해낸 첫 동양인이자 한국인 성악가이다. 서울대 음대(이인영 교수 사사), 이탈리아 밀라노 베르디국립음악원, 독일 쾰른국립음대 최고연주자 과정을 수석으로 졸업했으며, 토티 달 몬테 국제 오페라 콩쿠르, 프란체스코 알바네제 국제 콩쿠르, 엔리코 카루소 국제 콩쿠르 등 수많은 입상 경력을 가지고 있다. 이탈리아 트레비조시립극장과 로비고주립극장, 트렌토시립극장에서 공연된 <파우스트>에서 메피스토펠레로 열연한후, 총 관람객들의 투표로 한 가수에게만 주어지는 영예로운 최고 오페라 가수상, '스푸만티상' 을 수상하면서 유럽 오페라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또한 신들의 왕인 보탄역으로 오페라 지크프리트 를 포르투갈 리스본 극장에서 성공적으로 데뷔한 첫 동양인이었다. 무대에서의 탁월한 카리스마와 영웅적인 음성으로 <카르멘>의 에스카미요, <토스카>의 스카르피아, <오텔로>의 이아고, <트리스탄과 이졸데>의 쿠르베날, <피델리오>의 돈 피차로, <마탄의 사수>의 카스파, <니벨룽엔의 반지>의 보탄, <살로메>의 세례요한, <방황하는 네덜란드인>의 네덜란드인 등 이탈리아, 프랑스, 독일 오페라 전 분야에 걸쳐 드라마틱한 배역을 맡아 비평가들로부터 호평을 받고 있다. 1999년 이후부터 독일 쾰른국립극장 전속가수로 활동하고 있으며 바그너 <신들의 황혼>의 군터 역으로 데뷔 후 '무대를 장악하는 카리스마가 돋보이는 영웅적이면서도 아름답고 지적인 음성으로 완벽한 연주를 보여주었다' 는 극찬을 받았다. 이외에도 프랑스 파리 바스티유극장, 독일 베를린 도이체 오퍼, 프랑스 툴루즈극장, 독일 함부르크극장, 스위스 바젤극장, 스페인 세빌리야극장, 스페인 마드리드 왕립 극장, 스페인 바르셀로나 극장, 이탈리아 피렌체극장, 이태리 밀라노 스칼라 극장 등의 초청을 받아 거장 주빈 메타, 피에르 불레즈, 세미욘 비치코프, 도날들 러니클, 핀카스 슈타인베르크, 크리스티안 틸레만 등 세계적인 지휘자와 호흡을 맞춰왔다. 2005년 독일 쾰른에서 작곡가 오펜바흐를 기념하는 최고 오페라 가수상인 '오펜바흐 상(Offenbachpreis)'을 수상하는 영예를 얻었고, 2004년부터 바그너 오페라의 본 고장인 바이로이트 바그너페스티발에 주역으로 출연하고 있다. 한국에서는 2005 성남아트센터 개관기념 <파우스트>의 메피스토펠레로 출연하였고 이후 국립 오페라단과 사랑의 묘약, 룰루, 피가로의 결혼을 공연, 서울시립교향악단과 브람스 레퀴엠에 바리톤 솔리스트로 연주하여 언론으로부터 호평을 받았다. 2016년까지 이탈리아 밀라노 스칼라극장, 프랑스 바스티유극장, 프랑스 니스 극장, 이태리 팔레르모 극장, 몬테 카를로 왕립극장, 스페인 바르셀로나 극장, 스페인 마드리드극장, 이탈리아 피렌체극장, 로마 산타체칠리아, 영국 런던 코벤트 가든, 독일 베를린 도이체오퍼에서 주역으로 활동할 예정이다.
'그룹명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울시향 특별 음악회 (2013.01.17) 예술의 전당 (0) | 2013.01.19 |
---|---|
서울시향 러시아 시리즈 -4 (2012.12.21) 예술의 전당 (0) | 2012.12.23 |
마리스 얀손스& 바이에른 방송교향악단 내한공연 (2011.11.20) (0) | 2012.11.22 |
오페라 감상회/ 모차르트 - 피가로의 결혼 (2012.11.17) (0) | 2012.11.18 |
서울시향/ 비루투오소 시리즈- 4 (2012.11.16) 예술의 전당 (0) | 2012.11.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