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로그램
문굿
비나리
삼도설장고가락
삼도농악가락
판굿
뒤풀이
공연을 가장 빛냈던 장면, 모두가 참여하는 뒤풀이 마당
Program note
길놀이
놀이 패들이 마당을 향해서 행진을 하는 것을 '길놀이'라고 한다.
길놀이는 본격적인 놀이판이 벌어지기 전에 공연자와 관객이 하나가 되어 행진을 하면서 함께 공연을 이루어 가는 것이다.
문굿,비나리
김덕수 예술감독이 "문 여십시오"하고 큰소리로 외치며 관객 출입구를 통해서 들어 왔듯이,사물놀이 공연은 비나리로 시작한다. 문굿은 객석을 통해서 무대로 입장하는 일종의 통과의례로 공연장에 온 사람들과 비로소 같은 공간의 기를 공유하게 됨을 의미한다.
오늘도 나팔을 선두로 꽹과리,징,장고, 북을 치면서 입장했었다.
비나리는 사물의 가락 위에 축원과 고사덕담의 내용을 담은 노래를 얹어 부르는 것으로 그 사설은 제의성이 매우 강하다.비나리는 사물놀이의 공연에서 항상 맨 앞에 놓여지고 관객들의 평안과 안녕을 기원한다.
선반 공연 이었다.
삼도설장고가락
삼도 설장고가락은 과거 경기,충청,호남,그리고 영남의 삼도에서 명성을 날리던 장고의 명인들의 가락을 모아
사물놀이가 새롭게 정리한 것이다. 여기에는 사물놀이의 탁월한 예술적 감각과 그들만의 독특한 가락이 덧붙여져 있다. 4명 혹은 그 이상의 연주자가 네 개의파트로 분리하여 장단을 서로 주고받기도 하고 또는 한 파트의 독주형식의 장고 연주를 나머지가 받으면서 이끌어 나간다.
오늘은 9대의 장고가 재미있는 동작과 익살스런 표정으로 관객과 함께했다.
삼도농악가락
사물놀이의 역사는 무릇 오천년 이상을 거슬러 올라간다.
하늘과 땅에 제사를 지내고,축제를 벌일때면 늘 꽹과리,징 북,장고의 소리가 울려 퍼졌다.이것을 '풍물놀이'(마을 풍물굿)라고 하고,이 품물놀이에서 쓰이는 가락과 춤과 상모놀이 등을 이 시대에 맞게 보다 적은 수의 사람들이 새롭게 구성하여 무대에서 연주하는 것이 사물놀이이다.
'삼도농악가락'은 영남,호남,중부 등 세 지역의 농악가락을 새롭게 엮은 것을 무대 위에 앉아서 연주하는 것이다.이것을 '사물놀이앉은반' 이라고 한다. 사물놀이 '앉은 반'은 서서 춤추며 연주하는 '선반'과 사물놀이의 가장 기본적인 공연형식이다. 앉은 반에서는 보다 음악적인 면이, 그리고 선반에서는 보다 연희(演戱)적인 면이 강조된다.
판굿
가장 사물놀이의 참다운 기운을 느낄 수 있는 때가 바로 사물놀이 선반인 '판굿' 이 펼쳐질 때이다.
발로는 땅을 출렁이며 춤을 추고, 손으로는 악기를 흥청이며 연주를 하고, 머리로는 상모를 감아 돌려 하늘을 휘젓는 판굿이야말로 사물놀이의 가장 아름다운 모습이다. 발과 손과 머리가 하나가 되는 높은 예술적 기량이 감탄을 자아낼뿐더러 심지어는 마치 곡예나 무예를 보는듯한 짜릿함을 선사하기도 하기 때문이다.
긴 상모가 그려내는 아름다운 곡선과 마치 모란이 피어나는 듯한 짧은 상모의 춤사위가 곡예를 보는듯 했고
버너돌리기는 익살스런 표정과 동작으로 관객을 즐겁게 하며 흥을 돋아주었다.
뒤풀이
사물놀이 공연의 마지막은 늘 공연자와 관객 또한 하나가 되어 마지막 신명의 불꽃을 태워 낸다. 이것을 바로
'뒤풀이'라고 한다.
뒤풀이는 우리 전통예술에 담긴 '대동'의 정신이 담겨져 있고, 곧 화합과 평화의 기운이 되어 온 누리에 퍼진다.
함께 하는 만큼 더욱 커지는 신명이야말로 우리 전통예술의 꽃이다.
김덕수씨가 가르쳐준 추임새 '좋다',' 얼씨구', 를 외치며 남녀노소 구분없이 무대가 꽉차도록 어울려 노는 모습은 참으로 흐뭇하고 멋진 광경이었다.
사물놀이는 신명과 한풀이를 동시에 풀어내는 신명나는 놀이인 동시에 카타르시스를 느끼게하는 가슴속 깊은 곳에서 내뿜어져 나오는 외침인것 같다.
김덕수 싸인 CD <길>
'밥상 > 브람스를 좋아하세요...' 카테고리의 다른 글
퇴근길에 영화 '비투스'보러가다 (2008.04.29) (0) | 2008.05.02 |
---|---|
2008 교향악축제 마지막 공연<서울시향>2008.4.23 예당 (0) | 2008.04.24 |
4월 오페라 감상회 '모짜르트'<후궁탈출> 2008.4.19 (0) | 2008.04.19 |
몬트리올 심포니 오케스트라 내한공연 (2008.4.18) 세종문화회관 (0) | 2008.04.17 |
서울시향의 러시아 명곡 시리즈-2(2008.4.16) 세종문화회관 (0) | 2008.04.17 |